가을패턴 Autumn Pattern
9월에 접어들면서 햇살은 눈에 띄게 부드러워지고 일조시간도 줄어들게 된다. 쉽게 데워지기 어렵고 쉽게 식지 않는 물은 잠시동안은 여름 상황을 유지하지만 서서히 수온이 저하됨에 따라 배스는 가을을 의식하게 된다. 가을은 갑자기 찾아오는 것이 아니다. 한낮에는 따가운 햇살이 내리쬐지만 아침저녁으론 추위마저 느끼게 되면 가을은 이미 곁에 와 있는 것이다. 여름엔 아침저녁으로만 볼 수 있었던 얕은 곳에서의 배스의 먹이 활동이 가을로 접어들면 한낮에도 행해진다. 장애물이나 그늘을 크게 의식하지 않아도 배스가 비교적 잘 낚이게 되면 가을 패턴의 시작이라 볼 수 있다. 시기적으로 8월말부터 9월초 사이가 이러한 계절의 변화가 있는 기간이다. 9월중 순을 지나면 깊은 곳이나 그늘진 곳의 여름 패턴에서 벗어나 얕은 곳에서도 대형이 낚이기 시작한다. 그러나 늦더위가 심하면 또다시 여름패턴으로 되돌아가는 일도 있다.
10월초부터 11월초 순까지가 본격적인 가을이다. 호수 전체에 배스가 분산되는 패턴이 전개된다. 배스는 얕은 곳에서 깊은 곳까지 광범위하게 흩어진다. 봄은 산란을 대비한 얕은 곳, 여름은 깊은 곳이나 그늘진 곳 등으로 패턴을 비교적 좁혀 들어가기 쉽지만 가을 배스는 광범위하게 분산 되어버려 스팟을 좁혀 들어가기가 어렵다. 낚시방법도 마찬가지다. 여러 가지 방법의 거의 모든 루어에 반응을 보인다. 특히 크랭크베이트나 바이브레이션 플러그와 같은 빠르게 움직이는 루어로 쉽게 낚을 수 있는 반면 패턴을 확립시키기 어려운 면도 있다. 스팟과 수심 그리고 방법을 좁혀가기 어려운 것이다. 그렇다면 가을 배스를 찾는 '키워드'는 무엇일까? 그것은 먹이다. 즉 배스의 먹이감이 되는 작은 물고기(베이트피쉬)를 찾아내는 것이 가장 손쉬운 방법인 것이다.
본격적인 가을에 접어들어 호수 전체가 배스에게 적합한 수온을 유지하게 되면 배스는 베이트피쉬를 좇아 회유하기 시작한다. 배스는 장애물을 떠나 무리지어 베이트피쉬를 좇게 되는데 특히 커다란 베이트피쉬의 무리에 배스가 잘 달라붙는 경향이 있다. 가을에 무리를 이룬 배스를 찾기 위해서는 어떠한 베이트피쉬를 좇고 있는지. 또 어디에 베이트피쉬가 많은지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다. 빙어가 있는 호수에선 빙어의 무리가 있는 수심층이 곧 배스가 유영하고 있는 수심층이 되는 것이다. 여름에 수온이 상승하여 써모클라인이 생긴 호수에선 가을이 되면 턴오버(Turn-over)라는 현상이 일어난다. 한냉전선의 통과 등에 의해 급격히 표층수온이 떨어지면 써모클라인 상층과 하층의 수온이 역전되면서 써모클라인이 파괴되어 상층과 하층의 물이 대류에 의해 뒤바뀌게 된다. 이러한 대류현상을 턴오버라 한다. 이때 죽은 플랑크톤과 뻘흙 등 바닥의 침전물을 포함한 무산소의 죽은 물이 뒤섞이게 된다.
턴 오버가 일어나면 물은 더러워지고 흐려지며 비릿한 냄세가 나게 되므로 곧바로 알 수 있다. 이때 배스는 쇼크 상태에 빠져들어 활성도가 극도로 낮아지고 먹이도 거의 먹지 않게 된다. 턴오버는 짧게는 1주일에서 길게는 수주일 동안 계속된다. 그러나 턴오버가 길어지면 배스는 계속해서 먹이를 먹지 않을 수 없으므로 쇼크 상태에서 깨어난 배스는 신선한 물이 공급되는 인렛(물이 흘러 들어오는 곳)부근이나 턴오버의 영향을 받지 않은 얕은 곳에 모인다. 턴오버는 가을에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수심이 깊고 물의 순환이 나쁘며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심한 산간호수에서 일어나기 쉽다.
늦가을이 되면 분산되어 있던 배스는 잠시 후 찾아올 겨울을 의식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의 배스는 월동장소 부근으로 접근한다. 베이트 피쉬만 있으면 어디에서든 볼 수 있던 가을에 비해 늦가을엔 장애물 부근이나 물의 움직임이 적은 깊은 곳에 가까운 지역에서 배스를 볼 수 있게 된다. 늦가을이 되면 루어를 다소 천천히 감아들이는 게 좋지만 아직도 크랭크베이트로 바닥을 치는 바텀 녹크(Bottom knock)나 스피너베이트의 슬로우 롤링 등이 통하기도 한다. 하지만 점차 러버지그나 텍사스 리그의 바텀 점프가 그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늦가을에도 베이트피쉬의 존재는 중요하다.
요약. 1. 베이트피쉬를 찾는다. 2. 배스는 호수 전체로 흩어진다. 3. 빠르게 움직이는 루어가 효과적이다. 4. 늦가을엔 월동처 부근의 장애물을 공략한다. 5. 무슨 루어든 사용해보자. 자신이 좋아하는 루어가 가장 잘 낚일 것이다.
| |